공주 - 공산성 공주산성 백제시대 축성된 산성으로 백제 때에는 웅진성으로 불렸다가 고려시대 이후 공산성으로 불리게 되었다. 475년(문주왕 1) 한산성에서 웅진으로 천도하였다가, 538년(성왕 16)에 부여로 천도할 때까지 5대 64년간의 도읍지인 공주를 수호하기 위하여 축조한 것으로, 당시의 중심 산성.. 테마·나들이 2017.06.05
한탄강 - 대교천 현무암 협곡 대교천 현무암 협곡 한탄강 대교천 현무암 협곡의 해당 구간은 길이 약 1.5km이다. 이곳은 경치도 빼어나고 지질학적으로도 가치가 높아 천연기념물(제436호)로 지정됐다. 폭은 25m~40m 정도이며 협곡의 높이는 약 30m로 위에서 내려다 보면 상당한 깊이다. 한탄강 유역에는 현무암 평원이 발달.. 테마·나들이 2017.05.29
한탄강 - 샘소 샘소 협곡 샘소협곡은 한탄강 유역 중 강원도 철원군과 경기도 포천시 냉정리 구간이다. 협곡 주변은 가파른 절벽이라 래프팅을 통해 지나갈 수 있으며 급류가 심한 지형을 이루고 있다. 사계절 변하지 않는 샘이 있다고 하여 샘소라고 불리우며 약 1.3km 거리에 한탄강 대교천 현무암협곡.. 테마·나들이 2017.05.29
한탄강 - 차탄천 주상절리 차탄천 주상절리 차탄천이란 이름은 수레여울에서 유래했다. 조선 태종 이방원이 조선 건국을 반대하고 연천으로 낙향한 친구 이양소를 만나기 위해 연천으로 가던 중 이 여울에서 수레가 빠졌는데 수레여울을 한자로 옮기면서 차탄천으로 불리게 됐다. 차탄천 주상절리는 높이 약 25m의 .. 테마·나들이 2017.05.25
한탄강 - 차탄천 판상절리와 습곡구조 은대리 판상절리와 습곡구조 은대리 판상절리는 신생대 제4기 추가령 열곡대에서 분출한 용암에 의해 형성된 노두이고, 변성퇴적암의 습곡구조는 은대리 판상절리에서 약 80~150m떨어진 북측의 노두와 하천에서 관찰된다. 은대리 판상절리와 습곡구조는 선캄브리아기 변성퇴적암이 신생.. 테마·나들이 2017.05.25
한탄강 - 고문리 협곡 (백의리층) 고문리 현무암절벽 이곳 고문리 협곡은 백의리층, 주상절리와 판상절리가 겹쳐진 현무암 절벽을 이루고 있다. 용암이 한탄강변의 얕은 물과 만나 들끓는 형태 그대로 굳어진 클링커 괴상용결 등 온갖 종류의 지질 현상을 관찰할 수 있다. 백의리층은 옛 한탄강 바닥에 쌓였던 자갈층이다... 테마·나들이 2017.05.22
한탄강 - 아우라지 베개용암 아우라지 베개용암 2013년 2월 12일 국가지정문화재 천연기념물 제542호로 지정되었다. 신생대 제4기 추가령 구조선 또는 북한의 평강 오리산에서 분출한 현무암질 용암이 옛 한탄강 유로를 따라 흐르다가 영평천과 한탄강이 만나는 지점(아우라지)에서 급랭하여 형성된 것이다. 침상용암이.. 테마·나들이 2017.05.19
한탄강 - 좌상바위 좌상바위 한탄강 주변에 약 60m 높이로 우뚝 솟아있는 좌상바위는 중생대 백악기 말의 화산활동으로 만들어진 현무암이다. 이현무암을 장탄리 현무암이라 부르는데, 화산의 화구나 화도주변에서 마그마가 분출하여 만들어진 것이라고 한다. 바위에 세로방향으로 띠가 관찰되는 것은 빗물.. 테마·나들이 2017.05.19
한탄강 - 재인폭포 재인폭포 요즘 계속되는 가뭄으로 한탄강 언저리는 바닥을 드러내고 물길도 빈약하다. 화산 폭발로 생성된 용암대지와 주상절리라고 하면 흔히 제주도를 떠올리지만, 경기도 연천군 한탄강에서도 빼어난 경관을 자랑하는 용암지형을 만날 수 있다. 약 50만년 전 지금은 북한 땅인 강원도 .. 테마·나들이 2017.05.19
한탄강 - 구라이골 구라이골 한탄강 본류를 흐르던 용암이 지류로 역류하면서 형성된 침식 지형으로 40m 길이의 주상절리 협곡이다. 현무암 주상 절리, 폭포, 협곡을 관찰할 수 있고, 숲이 우거지는 여름에는 원시림과 같은 느낌을 자아내는 지질 명소이다. 구라이란 말은 바위굴이 있는 위쪽에 있다고 하여 .. 테마·나들이 2017.0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