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기괭이눈 '애기괭이눈' 쌍떡잎식물 장미목 범의귀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덩굴괭이눈 또는 만금요라고도 한다. 산지의 습한 바위틈에서 자란다. 줄기는 높이가 5∼15cm이고 긴 털이 있으며 밑 부분에서 가는 기는줄기가 나와 옆으로 벋고, 기는줄기가 땅에 닿는 곳에서 뿌리가 내리고 새싹이 돋는다. .. 야생화·식물 2012.03.26
보호식물 노랑앉은부채 '노랑앉은부채꽃' 피자식물문 외떡잎식물강 천남성과로 다년생 초본이다. 전국에 자생하며 생육환경은 골짜기나 약하게 경사진 곳에서 자란다. 키는 10~20㎝이고, 잎은 둥글고 길며, 끝이 뾰족하고 뿌리에서 발달되어 나온다. 노란색의 꽃은 지름 5~12㎝로 잎보다 먼저 핀다. 꽃차례를 싸고.. 야생화·식물 2012.03.26
요즘 천마산 '천마산 이른 봄꽃' 밤낮의 길이가 같다는 춘분을 맞은 천마산 서북쪽 계곡은 아직 겨울티를 벗지 못했다. 하지만 살포시 낙엽을 비집고 얼굴을 내민 야생화가 여기 저기서 기지개를 펴고 있다. 얼음이 녹고 있는 깊은 계곡, 졸졸 흐르는 낮은 물소리, 이제 봄이 영글고 있다. 천마산의 중.. 야생화·식물 2012.03.22
바스락대는 낙엽소리 꿩의바람꽃 '꿩의바람꽃' 너도바람꽃이 질 무렵이면 그 주변에서 하나 두씩 새로운 바람꽃이 모습을 보인다. 바로 꿩의바람꽃인데 흰꽃잎처럼 보이는 약 10장 정도의 많은 꽃받침이 눈길을 끈다. 꿩의바람꽃은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숲속에서 자라며 뿌리.. 야생화·식물 2012.03.19
꽃샘추위를 부르는 너도바람꽃 '너도바람꽃' 중부지방의 산지계곡에서는 너도바람꽃이 가장 먼저 피어난다. 복수초 보다도 일주일 정도 먼저꽃을 피우지만 개화시기는 같은 시기로 본다. 너도바람꽃의 높이는 약 15센티미터이며, 덩이뿌리에서 짧은 줄기가 나온다. 3월에 흰색의 달걀 모양의 꽃이 한 송이씩 핀다. 꽃의.. 야생화·식물 2012.03.19
푸른 이끼와 괭이눈 '괭이눈' 봄이면 비교적 물기가 많은 계곡에 가장 먼저 고개를 내미는 녀석이 있다. 마치 고양이눈을 닮았다고 해서 '괭이눈'으로 이름이 붙여진 괭이눈이다. 괭이눈은 여러해살이풀로서 줄기는 옆으로 뻗고 마디마디에 잔뿌리가 많다. 잎은 엷은 녹색으로 타원형이고 마주나며, 가장자.. 야생화·식물 2012.03.19
항아리 속의 앉은부채 꽃 '앉은부채' 달걀모양의 불염포에 쌓인 둥근 꽃이 어떤때는 멧토끼의 먹잇감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앉은부채는 천남성과에 속하는 다년생초본으로 물가의 그늘진 곳에서 자란다. 땅 속 깊이 뿌리줄기가 자라지만 땅 위로는 줄기가 거의 자라지 않고 잎과 꽃만 핀다. 잎은 길이와 너비가 30.. 야생화·식물 2012.03.16
자줏빛 개감수 '개감수' 개감수는 이른 봄 너도바람꽃이 필무렵에 자주빛 싹을 내민다. 쌍떡잎식물강 대극과과에 속하며 전국의 산과 들에 자라는 다년생 초본이다. 생육환경은 양지 혹은 반음지의 토양이 비옥한 곳에서 자란다. 키는 30~60㎝이고, 긴 타원형 잎의 앞부분은 녹색이지만 뒤쪽은 홍자색을 .. 야생화·식물 2012.03.16
분홍색 노루귀 '노루귀' 중부지방에서는 변산바람꽃이 필 무렵에 이른 노루귀 꽃도 함께 볼 수 있다. 노루귀는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는 다년생초로 잎보다 꽃이 먼저 핀다. 3갈래로 나누어진 잎은 토끼풀의 잎과 비슷하며 꽃이 진 다음에 뿌리에서 나오는데, 털이 돋은 잎이 나오는 모습이 .. 야생화·식물 2012.03.11
변산아씨 변산바람꽃 '변산바람꽃' 수도권에 변산바람꽃 자생지가 있다는 것이 얼마나 다행스러운 일인지 모른다. 그렇지 않으면 먼 남쪽지방이나 서해의 외딴섬으로 들어가서 그를 만나야 한다. 올 해도 꽃샘추위가 찾아 온 작년과 같은 시기에 살포시 앙증스러운 모습을 드러냈다. 골이 깊은 계곡에서는 한.. 야생화·식물 2012.03.11